본문 바로가기
Stocks/Diary

환율이 1500원이 되면 일어나는 일

by Merse 2022. 10. 2.
반응형

안녕하세요 Merse입니다.

 

2022년 1월 3일, 달러당 1193원이었던 원달러 환율이 22년 9월 28일 1445원까지 겨우 약 9개월 만에 너무나도 가파른 속도로 올라버렸습니다.  원화의 가치가 무려 16%나 떨어져 버린 것입니다. 

 

올해 들어 단지 원화가치만 하락한 게 아니라 일본의 엔화도 - 20% 이상 하락하였고, 유로 - 13%, 중국의 위안 - 10%,  영국 파운드도 -17%의 하락을 보여주며 주요국 통화 가치의 하락이 더 이상은 과시될 수 없을 정도로 하락한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원달러-환율-그래프
원달러환율 그래프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선 기록은 1997년~1998년 IMF 외환위기, 2008년~2009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로 단 두 차례뿐이기 때문에 이번에 1400원이 넘어선 것은 가히 충격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너무나도 높아진 원달러 환율 때문에 우리 경제에 불안정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많은 뉴스 매체에서도 환율이 곧 1500원까지 갈 수 있을거란 전망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만약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이 된다면 우리나라엔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 걱정도 되며 궁금해지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상품 수출 무역 전세계 7위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 중 하나입니다. 환율이 높아진다면 수출이 유리해지고 수입이 불리해지는 구조입니다.

 

단면적으론 달러가 올라서 수출이 유리해지면 좋은거 아니야?라고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면에는 우리가 실제로 겪을 불이익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1.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첫 번째입니다.

 

미국에서 1달러 즉 1200원에 들여오던 물건이 1500원을 주고 들여오게 되며 이러한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에게 전과될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8월 5.7%로 연초 3프로대를 유지하다 미국발 금리 인상에 따른 환율 상승으로 6월 6%를 돌파, 7월 6.3%를 찍고 내려와 8월 5.7%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만약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넘어간다면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물가상승율
2022 한국 물가상승율

 

 

2. 환율 상승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환율이 높아진다는 의미는 곧 수입품의 가격이 오른다는 의미로 타 국가에 비해 자원량이 풍부하지 못하는 우리나라는 많은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1200원에 수입해왔던 원자재를 완성품으로 만들어 1500원에 수출한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수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1500원에 수입한 원자재를 환율 하락으로 1200원에 팔아야 하는 위험부담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리스크 때문에 환율에 따른 물건의 가격을 조절하여 판매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한국의 금리도 더불어 같이 올라갑니다.

 

미국이 금리 인상을 강행하며 원달러 확률이 급등하였습니다. 이에 한국 중앙은행도 금리 인상을 실시하여 연초 1.25%에서 8월까지 2.5%까지 상승하였고 10월 12일 있을 발표에 추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한국-기준금리
10월 1일 기준 한국 기준금리

 

 

기준금리가 높아진다는 의미는 대출 이자율이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세계적으로도 봐도 가장 높은 편입니다. 이는 우리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체감할 수 있는 고환율의 부작용 중 하나입니다.

 

우리 가계대출 금리가 높아진다는 것이 가장 잘 느껴지는 영향이겠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기업의 경우 순수 기업의 자본으로 운여 되지 않고 어느 정도 부채의 비율이 있는 편인데 금리가 높아지면 기업이 부담해야 할 이자가 높아지고 이는 기업의 수익과 연결됩니다. 

 

부채율이 높은 건설업이나, 서비스업, 기계, 비금속광물과 음식료품의 업종이 대체적으로 높은 비율의 부채를 갖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한국 기업으로는 티웨이항공, 아시아나항공, CJ CGV, 하나투어와 한화가 상장사들 중에는 가장 높은 부채비율을 갖고 있습니다.

 

 

달러 환율은 생각보다 많은 곳에서 우리 일 생활에 영향을 끼칩니다.  간접적 영향이 아닌 우리가 체감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니 주의 깊게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